오차원인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
GPS 위치측정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요소들은 크게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. 첫째 구조적 요인으로 생기는 오차로는 인공위성 시간 오차, 인공위성 위치 오차, 전리층과 대류층의 굴절, 잡음(Noise), 다중 경로(Multipath)등이 있다. 두번째로는 위성의 배치상황에 따른 기하학적 오차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가장 큰 오차 원인인 SA (Selective Availability) 가 있다. 이 요소들이 모두 잠재적으로 합쳐져서 매우 큰 오차 결과를 낳는데 이것을 UERE(User Equivalent Range Error)라고 한다. 각 오차들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서 매우 크게 변한다. 다음은 각 오차들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인공위성 시간 오차 -> 0-1.5 m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인공위성 위치 오차 1- 5 m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
전리층의 굴절 0-30 m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
대류층의 굴절 0-30 m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
수신기 잡음 0-10 m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
다중 경로(Multipath) 0-1 m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
SA(Selective Availability) 0-70 m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
C/A 코드 경우 모든 오차가 합쳐진 수평 오차는 SA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는 28m 이고 작동하는 경우에는 100m 이다.
![]()
자료출처:한국천문연구원 우주측지연구부 |
2010년 1월 6일 수요일
GPS오차
피드 구독하기:
댓글 (Atom)
댓글 없음:
댓글 쓰기